정수형 (Int)
- 고정된 메모리 크기: 정수형 데이터는 고정된 메모리 크기를 사용함.
- 예: 대부분의 언어에서 32비트(4바이트) 또는 64비트(8바이트)임.
실수형 (Double)
- 고정된 메모리 크기: 실수형 데이터도 고정된 메모리 크기를 사용함 그리고 보통 정수형의 2배 가까이를 필요로 함.
- 예: 대부분의 언어에서 64비트(8바이트)임.
문자열 (String)
- 가변 메모리 크기: 문자열은 길이에 따라 메모리 크기가 가변적임.
- 각 문자의 크기는 인코딩 방식에 따라 다르지만, 일반적으로 UTF-16에서는 문자당 2바이트(16비트)를 사용함.
- 예: "hello"는 5 * 2바이트 = 10바이트임.
자료형 | 메모리 크기 | 예시 크기 (바이트) |
---|---|---|
정수형(Int) | 고정 크기 | 32비트(4바이트) 또는 64비트(8바이트) |
실수형(Double) | 고정 크기 | 64비트(8바이트) |
문자열(String) | 가변 크기 | 길이에 따라 다름, "hello"는 10바이트 (UTF-16 기준) |
결론
컴퓨터는 딱딱 정해주는게 좋음. 가변적일수록 안좋음.
그래서 타입을 정해줌으로써 메모리 이만큼 쓴다잉? ㅋㅋ하고 말해주는거임.
Int, Double은 메모리 크기를 고정으로 씀.
문자열은 고정해놓지않고 가변하게 처리하는데 연산을 비효율적으로 만들더라도 이게 더 유리하다고 생각하는거.
'CS > 짤막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. 자료구조 / 알고리즘 - 코드 (1) | 2024.10.28 |
---|---|
WebRTC with ChatGPT (2) | 2024.10.02 |
restful API vs websocket (0) | 2024.09.25 |
2. webRTC의 SDP, ICE, 시그널링에 대해서 (0) | 2024.09.20 |
1. webRTC 기초 정리 (0) | 2024.09.19 |